-
-
2016년 1차 KAIST 창업보육센터 우수기업(예비창업자) 모집 ▦ 모집 규모 및 지원 혜택■ 모집 기업 : 00개사 ■ 신청 자격 : 창업 3년 이내 법인 및 개인사업자, 예비창업자 ■ 지원 내용ㆍ최적의 개별 사업 공간 (최소 30㎡ 이상)ㆍ기업 성장 지원 프로그램 운영 - 기술 및 마케팅 지원(시제품제작, 마케팅리서치 등) - 자금 유치를 위한 IR 지원 - 분야별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교육 및 멘토링 지원 - 실험/분석 연구장비 지원※ 편의시설 : 회의실/세미나실, 과학도서관, 체육시설 등 ▦ 신청 및 문의■ 모집기간 : 2016. 4. 7(목) ~ 4. 29(금), 18:00까지■ 입주신청(온라인 접수) : https://tbic.kaist.ac.kr * 모집절차 및 입주조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문 의 : 042)350-4734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6-241호 2016년도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추가 지원 계획 공고
지역의
새로운 일자리와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에 대한 지원내용을 안내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기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경제협력권산업
: 2개 이상의
시·도로 구성된 경제협력권의 참여
시·도간 협력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정된 산업
2016년
5월
16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사업목적
☐
시도간
자율적 협력을 바탕으로 구성된 경제협력권내 협력산업별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유망제품을 개발함으로써 기업의 고용․매출을
확대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지원내용
: 경제협력권산업별
유망품목*에
대한 기술개발
* 유망품목: 경제협력권산업을
선도할 상품으로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완제품과 부품을 포함하는 유형의 제품과 무형의 서비스 상품을
통칭
◉
지원분야
(17개
경제협력권산업 및 유망품목)
경제협력권
협력시·도
유망품목
①
조선해양플랜트1
경남, 전남
①해양플랜트
LNG 이송저장
시스템
②Subsea 부품․기자재
③화재폭발
감시방지 및 부식방지 기자재
④해양플랜트
지원선 DECK예인
시스템
⑤조선해양플랜트
생산자동화 설비
⑥조선해양 융·복합
기자재
②
조선해양플랜트2
부산, 울산
①지능형 해양플랜트 시스템
제품
②LNG연료 공급
모듈
③오프쇼어 리프팅 시스템
④오프쇼어 밸브 및 피팅류
모듈
⑤해양플랜트 안전진단
모듈
⑥화공 플랜트 코크 드럼
모듈
⑦극저온용 진공단열
파이프
⑧잭업 리그용 잭킹
모듈
③
화장품뷰티
충북, 제주
①기능성화장품(미백, 주름, 자외선)
②천연화장품
③메디컬화장품
④모발화장품
⑤색조화장품
⑥기타
일반화장품
④
의료기기
강원, 충북
①의료용 영상진단장치
②생체정보계측 진단기기
③치료용 의료기기
④나노기반
Point-of-Care 진단기기
⑤미래지능형
응급의료기기
⑥의료용경
및 생체분자영상시스템
⑦BT생체인터페이스기반
신경조절시스템
⑧치과 및 정형제품
⑨바이오기술기반
체외 진단기기
⑤
휴양형MICARE
제주, 강원
①휴양형
전시기획,
②인센티브
투어(산업형)
③헬스테인먼트
④전시디자인서비스
⑤의료검진서비스
⑥헬스케어리조트
클러스터
⑦스마트
MICARE 플랫폼
⑧의료관광서비스
⑨웰니스리조트
클러스터
⑩의료·헬스케어관광
인트라/아웃/인바운드
연계 플랫폼
⑪
Pre-Post Medi Tour형
지원 프로그램
⑥
이차전지
충남, 충북
①분리막
②집전체
③전해액
④양극재료
⑤음극재료
⑥셀
⑦
기능성화학소재
대전, 충남
①디스플레이용
화학소재
②반도체용
화학소재
③에너지·환경소재
④엔지니어링
플라스틱
⑤생활용품
소재
⑧
지능형기계
경북, 대구, 대전
①하이테크
산업용 섬유기계
②경량소재
정밀가공기계
③지능형
수송기계
④고기능성
농업용기계
⑤금속가공정밀기계시스템
⑥사출성형기계시스템
⑦공장기계시스템
⑧스마트
절삭가공시스템 및 유니트
⑨특수목적용
지능기계 및 모듈부품
⑩생산공정자동화장비
및 검사장비
⑨
에너지부품
광주, 전북
①태양전지
②심부지열
③이차전지
④단주기ESS
⑩
기계부품
충남, 세종
①유체/유공압 기계부품
②전동부품
③기능성 금속구조물
④이송유닛
⑪
광·전자융합
광주, 대전
①광정보네트워크
②광정밀시스템
③신광원조명시스템
④지능형센서
⑤초정밀전자부품
⑫
기능성하이테크섬유
대구, 경북, 부산
①신기능성신감성의류용소재
및 제품
②생활자재용소재 및 제품
③글로벌문화융합형패션잡화
④방호·보호용
엔지니어링 소재 및 제품
⑤고성능
건축용 소재 및 제품
⑥해양방재환경용
섬유소재 및 제품
⑦자동차용 내장재제품
⑧
자동차용
기능성소재 및 내장재
⑨전기전자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⑩위생의료용
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⑪환경기능성
섬유소재 및 제품
⑫토목용 섬유소재 및
제품
⑬
친환경자동차부품
전북, 광주
①환경규제대응
흡배기계 및 보기류 핵심부품
②경량고기능
차체 및 샤시부품
③에너지효율향상
구동 및 전동화부품
④그린전장부품
⑤특수목적용
특장시스템 및 핵심부품
⑭
바이오활성소재
전남, 전북, 강원
①천연물식의약소재
②뷰티소재
③합성첨가물대체제
④식자원생산지원소재
⑮
자동차융합부품
경북, 대구, 울산
①지능형운전지원장치
②차량통신시스템
③차량감성부품
④차량경량화융복합부품
⑤샤시제어기기
⑥전력효율향상모듈
⑦인간친화형안전융합부품
⑯
차량부품
부산, 경남
①내연기관 고효율 부품
②고감성내장부품
③차체 경량화 부품
④충돌안전용
전장부품
⑤xEV 구동형 모터
⑥Engine free sys
⑦능동형
샤시부품
⑧철도차량부품
⑰
나노융합소재
울산, 경남, 전남
①나노소재
②수송기계 친환경
내외장재
③에너지
저장·변환·전달
소재
④정보전자용
나노융합소재 분야
※
세부내용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www.kiat.or.kr) 및
지역사업관리종합시스템(http://www.ritis.or.kr) 홈페이지
참조
◉
지원내용
□
기술개발과제(지정공모) :
협력산업별
유망품목 내 제품개발 지원
- 3년
이내에 사업화를 통해 기업의 일자리 창출 및 매출, 수출의
확대가 가능한 과제
- 개발제품의
전후방기업 및 사업화 지원기관과의 컨소시엄 구성 필수
◉
‘16년
추가 지원금액 : 100억원
내외
□
세부과제별
지원예산은 제안요청서(RFP) 참조
◉
총
지원기간 : 30개월
이내
(연차협약)
□
당해연도
수행기간 : ‘16.07.01 ~ ’16.12.31 (6개월)
◉
총
수행기간 및 지원금액은 평가위원회를 통해 조정 될 수 있음
◉
공고된
제안요청서(RFP)라도
평가결과 수행기관이 선정되지 않을 수 있음
1
기술개발과제(비즈니스협력형 R&D)
지원개요
구
분
세부내용
국비
(‘16년기준)
5 ~ 10억 내외(4억 내외)
사업기간
3년 이내 (연차협약)
주관기관
자격조건
주관기업은 경제협력권 내 소재한
중소중견 기업
- 기업부설연구소
보유기업(산업기술진흥협회 등록
기준)
추진방식
개발제품의 전후방 기업 및 사업화 지원기관과의
컨소시엄 구성
기술료
징수
(경상기술료)
참여범위
주관참여기관의 60%(사업비 현금
기준) 이상이 경제협력권 내
입지
지원대상
: 기술개발과
사업화지원을 동시에 추진하는 협력산업별 비즈니스협력 컨소시엄(Supply-Chain)*
*
비즈니스협력
컨소시엄(Supply-Chain) : 개발
제품의 핵심기업(주관기관)을
중심으로
전후방
연관기업 및 사업화 지원기관(참여기관)으로
구성한 컨소시엄
ㅇ TRL 6~8단계
과제로서 사업기간 내 사업화가 가능한 과제 지원
*
단, TRL 6단계 이전이라도 사업기간 내 사업화가 가능한
과제 지원 가능
ㅇ (기술개발) 유망품목의
개발·사업화를
위해 전·후방
연관기업들이 역할분담을
통해 동시적으로 연계 추진해야 할 R&D과제
ㅇ (사업화지원) 사업화
총괄지원기관을 코디네이터로 지정하여 컨소시엄
구성
기업 분석을 통한 사업화 지원 전략을 제시하고, 전주기적
기업지원서비스 제공
*
사업화지원기관이
컨소시엄(주관 및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하여
해당제품의
사업화와 관련 있는 전후방 연관관계 기업을 포함하여 지원 가능
<고용창출조건>
ㅇ
국비지원액
2억원
당(이내) 1명
이상 신규채용 의무화(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인정)
- (참여인력 채용) 공고일 전 6개월부터 채용인원을 신규채용으로
인정
- (참여인력 이외 채용) 사업기간 내 채용인원 만 신규채용으로
인정
* 단, 1차년도(‘16년도)에
한하여 3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인정
* 사업
신청 시 ‘신규인력
채용예정확인서’, 과제정산
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제출
의무
* 고용창출조건 위반 시 신규인력 및 기존인력의
현금인건비 불인정
금회 지원규모 : 100억 내외
ㅇ 과제별 지원규모는 세부과제별
제안요청서(RFP) 참조
추진체계
: 지역의
중소중견기업이
주도하는 컨소시엄(기업
단독참여 불가)
< 추진체계도 예시 >
주관기업
(핵심기업)
사업화
지원기관
(영리 또는
비영리)
참여기업1
참여기업2
…
참여기업n
수혜형 참여기업1
수혜형 참여기업2
수혜형 참여기업n
< (예시)핵심기업*
기준의
비즈니스협력컨소시엄(Supply-Chain) 유형 >
방사형
계층형
네트워크형
체인형
*
핵심기업은
주관기업, 연관기업은 참여기업
신청자격
ㅇ
(주관기관) 「부가가치세법」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따라 해당 경제협력권에
사업장(본사, 공장) 중 1개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
ㅇ
(참여기관) 해당 경제협력권 및 다른
경제협력권(수도권
포함)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 또는 기관으로
개발제품의 전후방 기업, 대학연구소TP 등
비영리기관, 사업화 전문기관
등
사업화지원 수혜기업은
1개 수행기관(사업화
총괄지원기관)이 총괄 관리
ㅇ (기타조건) 컨소시엄 구성 시 경제협력권
참여시·도 각각 수행기관
1개 이상이 포함되어야
하며, 경제협력권 내
사업비(현금기준) 비중 60% 이상
공모방식 : 지정공모
ㅇ 세부과제
제안요청서(RFP)를 지정하고, 수행기관은 공모를 통한
선정
민간부담금 : 과제 내 수행기관 유형에 따라 민간부담비율
적용
수행기관1) 유형
정부출연금
비율
민간부담금
현금비율
대기업2)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33% 이하
해당 수행기관 민간부담금의
60% 이상
중견기업3)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50% 이하
해당 수행기관 민간부담금의
50% 이상
중소기업4)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67% 이하
해당 수행기관 민간부담금의
40% 이상
그 외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100% 이하
필요시
부담
1) ‘수행기관’이란 과제수행을 위하여 선정된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임
2) ‘대기업’이란「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제2조
1호에
따른 중견기업이 아닌 기업임
3) ‘중견기업’이란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제2조
1호의
기업임
4) ‘중소기업’이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
및 3항과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중소기업
범위)에
따른 기업임
기술료 징수
ㅇ
기술료 징수
대상
과제 종료(조기종료
포함) 후 평가결과
혁신성과, 보통, 성실수행인
과제의
영리
주관기관 또는 영리 참여기관에게 성과물에 대한 실시권을 획득하는 대가로 기술료를
징수
*
영리
주관참여기관은
사용한 정부출연금에 대해서만 기술료를 납부하고, 사업화 지원기관은
면제
ㅇ
기술료
징수방식
영리기관은 과제 종료 후 경상기술료
방식에 따라 기술료를 전담기관에 납부하는 것을 원칙으로하되
불가피한 경우 과제별 정액기술료 납부 가능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제2015-264호) 기술료징수및관리에관한
통합요령 개정안 반영
ㅇ
기술료(경상기술료)
실시기업은 아래의 착수기본료 및
사업수행결과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출액에 대한 경상기술료를
매출이 발생한 회계연도부터 5년 또는 과제종료 후 7년 중에서 먼저 도래한 시점까지
전담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납부하여야 함
실시기업
유형
착수기본료*
경상기술료
대기업
정부출연금의
4%
매출액의
4%
중견기업
정부출연금의
2%
매출액의
2%
중소기업
정부출연금의
1%
매출액의
1%
*
‘착수기본료’는 기술료 확정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납부
-
입주기업 기술사업화 및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공고2016년도 『입주기업 기술사업화 및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계획을 공고하오니, 참여를 희망하는 기술사업화 및 경영컨설팅 전문기관은 아래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6. 5. 27 KAIST 산학협력단장 사업목적 및 개요 □ 사업목적입주기업의 창업보육 활성화를 목적으로 입주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판로개척 등 사업화 및 애로기술에 대한 컨설팅 지원 □ 사업개요 ○ 사업명 : 입주기업 사업화 촉진 및 애로기술 지원 사업 ○ 기 간 : 2016년 6월 - 2016년 12월 (6개월 : 사업기간 변경 가능) ○ 소요예산 : 20,000천원(부가세 포함) ○ 지원대상 : 약 15개 입주기업 대상 ○ 용역기관 : 입주기업 기술사업화 및 경영컨설팅 전문기관 -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또는 창업기업 지원 컨설팅 단체 등 ○ 입주기업 지원분야 : 기업이 애로를 겪고 있는 판로 개척 등 사업화 촉진 및 애로기술 자문 등 사업추진 절차(안) □ 사업추진 절차 기업사전조사 → 사업자공고 →사업자선정 → 계약체결 → 기업수요조사 → 사업설명회 → 지원기업선정 → 사업추진 → 컨설팅보고서 제출 → 기업 피드백 → 최종보고서 작성 ※ 컨설팅보고서는 매회 방문 후 작성 및 제출 □ 사업 공고KAIST 산학협력단 : http://itvc.kaist.ac.kr/noticeKAIST 창업보육센터 : https://tbic.kaist.ac.kr/notice 평가계획(안) □ 사업자 선발 ○ 선정 규모 : 1개 ○ 사업계획서 제출 마감일 : 2016. 6. 3.(금) 18:00 까지 ○ 평가 일시 : 2016. 6월 중(추후 확정) ○ 평가 방법 : 발표평가(10분 발표, 5분 질의응답) ⦁선정기준 : 전문성, 사업화 촉진 등에 대한 추진계획 및 해결 가능성 등 □ 지원 대상 입주기업 선발 ○ 선정 규모 : 수요조사 신청 기업 중 약 15개 기업 ○ 선정방법 ⦁신청기업 대상 방문 인터뷰 실시 ⦁사업화 달성 및 애로기술 해결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발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지원분야 및 기타사항 □ 입주기업 지원분야 예시① 정부과제 연계 지원 ② 자금유치지원 ③ 국내외 판로개척 ④ 시제품제작지원 ⑤ 사업화타당성조사 ⑥ 기술개발지원 ⑦ 기술/특허동향 등 정보 분석 ⑧ 신뢰성/불량분석 ⑨ 생산기업연계 ⑩ 개발인력확보 ⑪ 기술이전 등 □ 기타사항 ○ 용역계약 체결 ○ 기업방문 컨설팅을 기본 원칙으로 함 ○ 기업별 컨설팅 계획서(1부) 및 방문보고서(최소 월 2회 이상) 제출 ○ 추가 기술개발 협력 등에 소요되는 비용은 기업과 협의하여 추진 □ 우대사항 ○ 국내·외 판로 개척, 자금연계 지원 등 사업화 능력이 우수한 기관/단체 □ 신청 문의 [ KAIST 창업보육센터 ] ○ 연락처 : 042-350-4737 (담당자 : 조장현) ○ 이메일 : 5seyocho@kaist.ac.kr (이메일로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위치 : 대전시 유성구 문지로 193 KAIST문지캠퍼스 F동 621호 창업보육센터
-
KAIST 정보기술아카데미는 IT분야에 다양한 프로그램(정규강좌, 특강, 위탁교육)을 개설하여 대학생과 연구원, 일반인에게 MATLAB, C, C++, JAVA 등 IT강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나 필요하신 분은 홈페이지(https://ita.kaist.ac.kr)에서 자세한 강좌 내용을 확인 후 신청해 주세요.
최신 IT기술 능력향상과 연구소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식 IT강좌 위탁교육’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시간, 강좌, 인원,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연구원들의 IT교육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첨부 된 강좌안내 포스터를 보시고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AIST 정보기술아카데미 센터장 한 태 숙
-
KAIST 산학연계프로그램(기업회원제) 전문수행기관 POOL 모집공고
KAIST에서는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적 애로사항 및 현안과제를
해결하고자 ‘기업회원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KAIST의 우수한 핵심자원(연구자, 연구성과, 특허, 노하우 등)을 통한 ‘R&D기획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바, KAIST의 전문수행기관 POOL를 구성하오니 관심 있는 기업에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6. 8.
한국과학기술원 산학협력단장 배 중 면
Ⅰ
사업목표 및 지원내용
사업목표
○ KAIST의 우수한 핵심자원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의 적극적인 기술종합상담,
R&D기획지원,
특허정보 제공 등 기업이 당면한 기술적 현안 및 과제 분석을 통한 해결방안 제시
○ 전문수행기관 POOL 제를 운영하여 KAIST의 다양한 사업화 컨설팅 등 과제 제공
사업 아이템 고도화 및 신시장 발굴
상용화
실현 단계
아이템 발굴
아이템 구체화
R&D기획
기술종합
자문
시장조사,
사례조사
IP동향분석,
타당성 검토
BM 도출,
대안기술 제시
기업의
제품 R&D 수행
←
기업회원제 프로그램 지원내용 →
⋅KAIST 산학공동연구, 기술이전,국책과제협력
⋇ 기업회원제 프로그램 지원내용 분야에
대해 KAIST와 협력하여 용역과제 수행
⋇ 기업회원제 결과물에 대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 추진 가능
모집계획
○ 모집기관 : 15개 기관 내외 선정
- 분야별 모집은 현실상 어려움에 따라 우리학교의
주력분야(전기⋅전자,
ICT, 기계⋅소재, 바이오⋅화학)를 고려하여 적정하게 선정
○ 협약기간 : 협약일로 2년 (추진실적 등에 따라 갱신)
○ 사업비 : 수행과제 범위, 기간, 역할 등에 따라 산정 함.
○ 수행업무 : 기업환경분석, 기술시장동향조사, IP동향분석, R&D사전기획,
수요발굴, 기술이전 중개, 선행기술분석 등
【전문수행기관의 세부업무내용】
(R&D기획지원) 기업의 기술 R&D 사전단계로서 KAIST의 연구자원을 활용
하여 애로기술 분석, 해결 등 추진
(기업 R&SD지원) 기업이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기술 혹은 공정상의 애로
사항)에 대한 솔루션을 KAIST의 연구자원을 통해 제공
⋇ R&SD : Research and solution Development
(특허정보 리포트) 기업 Needs 기술 및 특허에 대해 ‘특허정보리포트’를
제공하고, 필요시 기술이전까지 진행
(선행기술분석) 기업의 Needs 기술에 대한 선행조사를 통해 기술의 중복성
및 지식재산권 침해 방지
(수요발굴지원) 기업의 연구개발 아이템 발굴 및 제안, 기업의 사전 수요
조사 진행, 신제품 및 신기술 준비 여부 검토, 사업 예비타당성 등 검토
Ⅱ
신청 및 선정
신청방법 및 기간
○ 신청방법 :
본 공고문에 첨부된 신청양식(사업신청서) 작성 후 보고서
이메일(bigstar@kaist.ac.kr) 제출 (직인 날인 후 PDF
파일로 제출)
○ 제출 마감기한 : 2016.8.23
※ 제출 및 문의처 : KAIST 기술사업화센터 (☎ 042-350-2975, bigstar@kaist.ac.kr)
선정기준 및 방법
○ 선정방법 : 서면평가
○ 평가기준
심사항목
주요내용
배점
사업의 이해도
KAIST 기업회원제
운영목적,
방식 등의 이해도,
사업참여
의지 등
30
전문인력
변리사, 사업화전문가 등 구성인력 파악
20
R&D기획 실적
기업 및 기관대상 R&D사전기획 보고 실적
30
기술사업화실적
국책과제 수행실적, 산학협력 실적, J/V 설립, 연구소기업설립, KAIST 자체 용역실적, 협력실적
등
10
기술이전실적
공공기술 및 일반기술을 통한 기술이전 실적
10
계
100
⋇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Ⅲ
세부 일정
1
[공고] KAIST
홈페이지 등을 통한 사업공고
8.2
2
[접수] 사업계획서
접수 마감
8.23
3
[평가
및 선정] : 전문위원회 구성을 통한 서류평가
9.1
4
[최종선정
및 발표]
9.6
5
[업무협약
체결]
9.9
⋇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