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p
-
K-Global 사업 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 공고성남시와 KAIST가 협력하여 성남시 중소/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과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 구현을 위해 추진 중인『K-Global 사업』의 일환으로『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에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 5.KAIST 산학협력단장I 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 목적 및 개요□ 프로그램 목적ㅇ KAIST 기술을 이전 받은 기업의 효과적인 기술 및 제품 상용화를 위한 후속 지원□ 지원 대상ㅇ KAIST 기술을 이전 받은 성남 기업 대상□ 지원 내용ㅇ 그룹 멘토링 - KAIST 교수, 전문가의 기술지도, 자문, 노하우 멘토링 제공: 2개 기업ㅇ 특허 컨설팅 - 이전 된 KAIST 기술 관련 특허 분석 및 컨설팅 제공: 2개 기업ㅇ 시제품 제작 지원 - 이전 된 KAIST 기술의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해 시제품 제작 지원: 최대 4개 기업ㅇ 출자기업 설립 지원 - KAIST 기술 출자 희망 기업 지원II 프로그램 구성□ 그룹 멘토링ㅇ KAIST 교수, 전문가의 기술지도, 자문, 노하우 멘토링 제공ㅇ 기술이전 받은 기업 대상으로 2개 기업 선정하여 그룹 멘토링 진행ㅇ 장소 : 기업 또는 KAIST※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박재홍 연구원 (Tel. 042-350-2972) KAIST 기술사업화센터 오충현 연구원 (Tel. 042-350-2975)□ 특허 컨설팅ㅇ 기술 이전 대상 기술 관련 특허 분석 및 컨설팅 진행ㅇ 2개 기업 선저하여 특허 컨설팅 진행ㅇ 장소 : 기업 또는 특허사무소※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김권 변리사 (Tel. 042-350-2173)□ 시제품 제작 지원ㅇ 기술 이전 후속 조치로써 이전 기술의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해 시제품 개발 지원ㅇ 최대 4개 기업 선정하여 시제품 제작 지원ㅇ 시제품 제작 기업은 기술이전 받은 기업이 선정하여 KAIST에 신청ㅇ 시제품 제작 비용은 KAIST에서 시제품 제작 업쳉에게 시제품 제작 종료 후 10월 달에 직접 지급ㅇ KAIST에서는 1개 기업 당 지원금 형태로 1000만원 내외 지원ㅇ 기업은 지원금의 10% 부담ㅇ 제작업체는 지원금+부담금(부가세)를 청구함※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박성준 연구원(Tel. 042-350-4791)□ 출자기업 설립 지원ㅇ KAIST 현물출자(특허, 기술 등)를 통한 출자기업 설립 또는 연구소기업 등록 지원 - 출자기업: KAIST 보유자산 중 기술, 노하우, 현물 및 현금 출자를 통하여 대학의 지분이 확보된 기업 또는 기업으로부터 기술이전 대가 및 기타의 이유로 주식을 양도 받은 기업 - 연구소기업: 출자기업 중 설립 기업의 자본금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한 일정률 이상의 KAIST 지분이 확보된 기업ㅇ 대상 기업 수 제한 없음ㅇ 업무 프로세스: 출자기업 신청 → 매칭 가능한 출자기술 발굴 → 연구자 미팅 → 출자기업 설립 심의 → 기술이전 계약 → 출자기업 설립ㅇ 지원 혜택 : 투자유치 지원, 국비 및 지방세 감면(연구소기업 등록 시), 연구소 기업 사업화(R&BD) 지원사업(특구본부 사업)※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박재홍 연구원 (Tel. 042-350-2972)III 프로그램 전체 운영 일정 일정지원 기업 모집 공고5/3 ~ 5/18대상 기업 선정5/21 ~ 5/25대상 기업 발표5/28자료 준비 기간 (애로점 해결책 조사)5/29 ~ 6/1프로그램 진행6/4 ~ 9/28의견 수렴 및 보고서 작성10/1 ~ 10/5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동 있을 수 있음IV 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 신청□ 신청 방법 및 기간ㅇ 신청 방법: 공고문에 첨부된 신청 양식 작성 후 이메일 제출 (k-global@kaist.ac.kr) (공고문을 KAIST 산학협력단 및 성남산업진흥재단 홈페이지에 게시)ㅇ 제출 마감 기한: 2018.5.18.※ 제출 및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Tel. 031-782-3269)
-
K-Global 사업 글로벌 마케팅 프로그램 공고성남시와 KAIST가 협력하여 성남시 중소/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과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 구현을 위해 추진 중인『K-Global 사업』의 일환으로『글로벌 마케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에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 5.KAIST 산학협력단장I 지원 내용 및 대상□ 지원 내용ㅇ 독일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 2018, 8.31.~9.5.)에서 성남시 기업 중 글로벌 사업화 가능 기업을 선정하여 홍보 지원ㅇ 제품 전시, 기업 홍보 팜플렛, 영상 홍보 등 글로벌 마케팅 서비스 지원□ 지원 대상ㅇ 성남 소재 기업 대상 - KAIST 기술을 이전 받은 기업 또는 KAIST와 협력 관계가 있는 기업II 신청 및 문의□ 신청 방법ㅇ 공고문에 첨부 된 신청양식 작성 후 이메일 제출(k-global@kaist.ac.kr) - 공고문은 KAIST 산학협력단 및 성남산업진흥재단 홈페이지에 게시ㅇ 제출 마감 기한: 2018. 5. 21※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이지현 행정원 (Tel. 042-350-4792)
-
K-Global 사업 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 공고성남시와 KAIST가 협력하여 성남시 중소/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과 4차 산업혁명 선도도시 구현을 위해 추진 중인『K-Global 사업』의 일환으로『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오니 본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에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18. 5.KAIST 산학협력단장I 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 목적 및 개요□ 프로그램 목적ㅇ KAIST 기술을 이전 받은 기업의 효과적인 기술 및 제품 상용화를 위한 후속 지원□ 지원 대상ㅇ KAIST 기술을 이전 받은 성남 기업 대상□ 지원 내용ㅇ 그룹 멘토링 - KAIST 교수, 전문가의 기술지도, 자문, 노하우 멘토링 제공: 2개 기업ㅇ 특허 컨설팅 - 이전 된 KAIST 기술 관련 특허 분석 및 컨설팅 제공: 2개 기업ㅇ 시제품 제작 지원 - 이전 된 KAIST 기술의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해 시제품 제작 지원: 최대 4개 기업ㅇ 출자기업 설립 지원 - KAIST 기술 출자 희망 기업 지원II 프로그램 구성□ 그룹 멘토링ㅇ KAIST 교수, 전문가의 기술지도, 자문, 노하우 멘토링 제공ㅇ 기술이전 받은 기업 대상으로 2개 기업 선정하여 그룹 멘토링 진행ㅇ 장소 : 기업 또는 KAIST※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박재홍 연구원 (Tel. 042-350-2972) KAIST 기술사업화센터 오충현 연구원 (Tel. 042-350-2975)□ 특허 컨설팅ㅇ 기술 이전 대상 기술 관련 특허 분석 및 컨설팅 진행ㅇ 2개 기업 선저하여 특허 컨설팅 진행ㅇ 장소 : 기업 또는 특허사무소※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김권 변리사 (Tel. 042-350-2173)□ 시제품 제작 지원ㅇ 기술 이전 후속 조치로써 이전 기술의 제품화 및 상용화를 위해 시제품 개발 지원ㅇ 최대 4개 기업 선정하여 시제품 제작 지원ㅇ 시제품 제작 기업은 기술이전 받은 기업이 선정하여 KAIST에 신청ㅇ 시제품 제작 비용은 KAIST에서 시제품 제작 업쳉에게 시제품 제작 종료 후 10월 달에 직접 지급ㅇ KAIST에서는 1개 기업 당 지원금 형태로 1000만원 내외 지원ㅇ 기업은 지원금의 10% 부담ㅇ 제작업체는 지원금+부담금(부가세)를 청구함※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박성준 연구원(Tel. 042-350-4791)□ 출자기업 설립 지원ㅇ KAIST 현물출자(특허, 기술 등)를 통한 출자기업 설립 또는 연구소기업 등록 지원 - 출자기업: KAIST 보유자산 중 기술, 노하우, 현물 및 현금 출자를 통하여 대학의 지분이 확보된 기업 또는 기업으로부터 기술이전 대가 및 기타의 이유로 주식을 양도 받은 기업 - 연구소기업: 출자기업 중 설립 기업의 자본금이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한 일정률 이상의 KAIST 지분이 확보된 기업ㅇ 대상 기업 수 제한 없음ㅇ 업무 프로세스: 출자기업 신청 → 매칭 가능한 출자기술 발굴 → 연구자 미팅 → 출자기업 설립 심의 → 기술이전 계약 → 출자기업 설립ㅇ 지원 혜택 : 투자유치 지원, 국비 및 지방세 감면(연구소기업 등록 시), 연구소 기업 사업화(R&BD) 지원사업(특구본부 사업)※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 (Tel. 031-782-3269)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박재홍 연구원 (Tel. 042-350-2972)III 기술이전 후속지원 프로그램 신청□ 신청 방법 및 기간ㅇ 신청 방법: 공고문에 첨부된 신청 양식 작성 후 이메일 제출 (k-global@kaist.ac.kr) (공고문을 KAIST 산학협력단 및 성남산업진흥재단 홈페이지에 게시)ㅇ 제출 마감 기한: 선착순 마감 (별도의 공지 없이 마감될 수 있음)※ 제출 및 문의처: KAIST 기술사업화센터 마수진 연구원(Tel. 031-782-3269)
-
<!--StartFragment--> KAIST 정보기술아카데미는 IT분야에 다양한 프로그램(정규강좌, 특강, 위탁교육)을 개설하여 대학생과 연구원, 일반인에게 MATLAB, C, C++, JAVA 등 IT강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나 필요하신 분은 홈페이지(https://ita.kaist.ac.kr)에서 자세한 강좌 내용을 확인 후 신청해 주세요. 최신 IT기술 능력향상과 연구소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맞춤식 IT강좌 위탁교육’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교육시간, 강좌, 인원, 장소 등에 구애받지 않고 수요자의 요구에 맞춰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연구원들의 IT교육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첨부 된 강좌안내 포스터를 보시고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감사합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KAIST 정보기술아카데미 센터장 한 태 숙
-
『중소기업 우수 아이디어 사업화 전략수립 지원』2018년도 R&D 인큐베이팅 지원사업 대상 공모 R&D 타당성, 시장성, 성공가능성 및 사업화 전력 수립 등을 지원하여 중소기업 우수 아이디어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를 적극 지원하고자『2018년도 하반기 R&D 인큐베이팅 지원사업』대상을 공모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1. 사업개요 □ 대상 : 발전 기자재 관련 초기 R&D 구체화 희망 중소기업 □ 내용 : 중소기업이 개발하고자 하는 국산화·신제품 R&D에 대한 KAIST Lab. 연계 인큐베이팅 지원 □ 규모 : 총 사업비(약 3천만원/기업), 기업 수(10개 기업 내외/년) 사 업 비분담규모(현금)비 고KOEN중소기업최대3천만원/건총 사업비의 75%총 사업비의 25%○ 3천만원 초과 시 중소기업 부담○ 사업기간 : 최대 1년 □ 추진 절차 공 모(KOEN) 대상기업 선정(KOEN) R&D 인큐베이팅지원협약 체결* 사업 시행** 결과 통보(중기→KOEN)중소기업심의위원회개최사업비의 50% 지급(KOEN/중기→KAIST)기획보고서작성기획보고서 제출,사업비의 50% 지급(KOEN/중기→KAIST) * : 협약 당사자(KOEN, 중소기업, KAIST) ** : 사업 시행 주체(중소기업, KAIST) 2. 신청접수 및 선정 □ 신청기한 : 2018. 06. 07(목) ~ 06. 15(금) ※ 신청접수 현황에 따라 일정 변경 가능 □ 신청방법 : 신청서 및 제안서 작성 후 이메일 또는 우편 접수 ○ 신청서 및 제안서 : 붙임 자료 참조 ○ 이메일 : jjh8216@koenergy.kr(제준호 차장, ☎070-8898-1344) hhchoi@koenergy.kr(최홍훈 대리, ☎070-8898-1346) □ 대상기업 선정 ○ 선정기준 : 심사평가 70점 이상 기업 중 예산범위 내 상위기업 순 선정 ○ 평가방법 : 신청기업을 대상으로 평가표에 의한 서면평가 ○ 평가기준 : 별도 평가기준(붙임 3. 선정평가표 참조) 붙임 1. R&D인큐베이팅 지원사업 공고문 등.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