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 공고 제2012-176호
2012년 연구원 특화 예비창업자육성사업 예비창업팀 및 주관(연구)기관 추가모집 공고
기술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연구인력의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2012년 연구원 특화 예비창업자육성사업』연구원 예비창업팀과 예비창업팀의 기술개발을 지원할 주관(연구)기관 추가모집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2년 7월 16일
중소기업청장
1. 모집개요
가. 사업목적
◦ 기술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연구원 예비창업팀을 선정하여 BI입주지원, 기술개발, 시제품 제작, 경영 등을 종합 지원하여 성공 창업기업 육성
나. 지원규모
◦ (예산규모) 총 10억원 (10개 내외 팀 선정 예정)
※ 기 14개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추가 모집을 통해 10개 내외 과제 선정
◦ (지원내용) 연구원 (예비)창업팀별 총 1억원 한도(총 사업비 70%이내)
- 사업 선정 창업팀은 총 사업비의 30%를 본인 부담
총 사업비
정부지원금
선정팀 부담금
현 금
현 물
100%
70% 이내
5% 이상
25% 이내
* 창업팀 부담현금은 선정이후 10일 이내에 전담기관의 지정 계좌에 납부
다. 지원체계 및 내용
□ BI입주지원, 기술개발, 시제품제작, 경영 등의 지원을 전담기관과 주관기관, 연구원 특화 창업지원센터가 역할을 분담하여 지원 수행
* 주관기관 참여의사가 없는 경우 또는 주관기관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계약직연구원의 경우 전담기관에서 주관기관의 역할을 대행가능
◦ (1단계) 주관기관과 기술창업팀간의 협의를 통하여 시제품제작을 지원하며, 기술교육·자문, 특허취득 등의 지원프로그램 자율 결정
* 재료비, 지식재산권 확보비, 인건비, 기자재 입차·구입비, 외주용역비 등을 지원
◦ (2단계) 전담기관과 협의를 통해 기술창업팀의 시장진입 준비를 지원하며, 시장조사, 디자인 개선, 고객반응 조사 등 지원
* 시장조사비, 교육비, 디자인비, 문헌정보비, 경영 컨설팅비, 자문료 등을 지원
◦ (3단계) 기술창업팀의 창업 및 마케팅을 지원하며, 창업, 홍보비(광고, 카탈로그, 전시회 참가 등), 규격 및 제품 인증 등을 지원
* 창업관련비용, 홍보비, 인증비, 전시참가비, 멘토링비 등을 지원
□ 선정된 연구원 예비창업팀은 협약 후 대전 융합기술연구생산센터 내에 위치한 ‘연구원 특화 창업지원센터’에
1년간 무상입주 원칙
◦ 공간수용의 한계로 8개팀을 입주보육하고 2개팀 내외를 비입소형태로 운영하며 비입소의 경우 1인 근무공간
제공을 통해 편의성 확보
◦ (운영주체) 연구기관의 적극적 참여를 위해, 창업진흥원 내에 ‘(가칭)연구원창업팀’ 신설 및 전담인력(4인) 배치
◦ (창업공간) 연구원 창업팀당 약 5평(16.5m2)의 전용 창업공간 및 회의실 등 공용시설과 장비 등 편의제공(최대 1년간)하고,
- (추가지원) 창업교육, 소수정예 전담멘토링 등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
2. 예비창업팀(자) 신청 및 선정
가.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2012. 7. 16(월) ~ 2012. 8. 15(수)
◦ (신청방법) '창업지원 온라인관리스템'을 통해 신청
* 온라인관리시스템(http://startbiz.changupnet.go.kr)에 참여신청서를 입력하고, 기본계획서(시스템 지정양식 작성 후 업로드), 가점 증빙서류 등 업로드
나. 신청자격
◦ (신청자격) 20예비창업자(연구기관 재직 경력 5년 이상이고 퇴직 후 3년 이내인 연구원) 또는 예비창업팀(연구기관 재직경력 5년이상이고 퇴직 후 3년 이내인 연구원 1/2이상 포함)으로 직접개발 또는 연구기관에서 제공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사업화를 희망하는 자
☞ 연구원은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이면서, 연구원 근무경력이 최소 5년 이상인자이어야 하며, 계약직 연구원도 기본여건 충족 시 참여 허용
☞ 특정연구기관의 경우 석사이상 수료한 대학원생(근무경력 無)의 참여 허용
* 특정연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등
☞ 퇴직연구원은 5년 이상의 연구기관 재직경력을 보유한 경우 참여 허용
☞ 창업한 경력이 있는 자는 공고일 기준, 폐업 후 1년이 경과한 경우 참여 허용
☞ 연구원 창업지원센터 입주 필수(주 3회 이상 출근)
◦ (창업자의 가점) 항목별 0.5점, 최대 2점 가점 부여
* 첨부자료 참조
◦ (신청제외 대상)
* 첨부자료 참조
다. (예비)창업팀의 평가선정
◦ (평가방법) 전담기관의 서류 및 발표평가
- 기술의 이해 및 시제품 제작 가능성
- 소속 주관(연구)기관 지원계획의 적절성(주관기관을 통해 참여한 창업자(팀) 평가시)
- 사업화계획의 적정성
- 사업화가능성
3. 유의사항
◦ 사업신청서를 허위기재할 경우, 또는 타기관(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1천만원 이상인 지원내역의 기재누락 발견될 시 운영지침에 따라 참여제한 및 정부지원금을 환수할 수 있음
◦ 동 사업에 (예비)창업팀당 1개 과제만 신청 가능
◦ 지자체 및 공공기관 창업지원사업 수혜자 중 1천만원 이상의 수혜자는 1천만원 이상의 차액만큼 동 사업의 정부지원금에서 차감
◦ 동 사업 협약기간 내 타 정부지원사업에 동일 과제로 1천만원 이상 지원받는 과제 수행은 불가하며, 발견 시 협약 해지
4. 문의처
◦ 사업관련 문의(주관기관)
- KAIST 창업보육센터
- 전화 : 042-350-4736
◦ 사업관련 문의(전담기관)
-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
- 전화 : 042-389-0042, 0043, 0044
- 홈페이지 : www.changupnet.go.kr(창업넷 "창업 상담하기")
◦ 창업지원 온라인관리시스템(startbiz.changupnet.go.kr)관련 문의
- 창업진흥원 정보전략팀 : 042-480-4373
“Startup은 속도가 생명이다”
동일한 속도를 가지고 있어도 방향이 다르면 도착지점 또한 달라지게 됩니다.
Velocity는 국내 최초 Preparatory Program for startup으로써 빠른 실천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미래의 기업가들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스스로 올바른 방향을 찾아 Global Hidden Champion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단순한 Speed가 아닌 Velocity를 갖춘 예비기술창업자를 꿈꾸고 있다면 KAIST TBIC Velocity 에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PROCESS
EDUCATION
집중교육과정(2개월)
Business Modeling
Startup Capital Formation Process
Business Documentation
Start-up Organizational Management
What is IR?
Financial Justification for Business Plan
Business Ethics
Law for Entrepreneurs
Presentation skill
Post-Merger Integration
How to be selected for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s Projects
시제품제작 및 창업준비(4개월)
Industrial Site Tour
Special Invited Lecture Series
Commercialize your business ideas
Matching mentors and mentee
상기 주제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Velocity Overview
지원자격
기술과 아이디어 기반으로 기술창업에 도전하고자 하는 예비창업자(팀) 누구나 신청가능
단, 신청일 현재 미창업자 또는 사업자등록 3개월 이내의 창업자
선발
총 12팀내외 선발
평가방법
평가항목: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1차 서류평가 및 2차 발표평가
혜택
Education
창업집중 교육과정
2달간의 집중 창업교육과정 제공
창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지식 및 정보의 집중전달 과정
Finance, Marketing, Market Research, Law 등
Space
보육공간 제공
교육기간 포함 6개월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공동입주공간 무상제공(Hot Desk)
현대적인 인테리어를 갖춘 보육공간으로써 창업자 별 개인 책상 제공
기타 아이디어 회의실, 다과실로 구성
Accomodation
숙박시설 제공
교육기간 동안 머물 수 있는 KAIST 내 Guest House 무상제공
단, 식사 및 기타비용은 개인부담
Exemption
TBIC 입주심사 면제
교육수료 후 KAIST TBIC 입주기업심사 면제
주요일정
참가자 접수: 7월 16일(월) ~ 8월 3일(금)
1차 서류심사(통과자 개별안내): 8월 9일(목)
2차 발표심사(통과자 개별안내): 8월 14일(화)
Orientation(최종 선정자 대상): 9월 3일(월)
집중교육과정: 9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시제품제작 및 창업준비: 11월 초부터 4월 말까지
제출서류
온라인지원서 1부
사업계획서(붙임양식) 1부
신용정보조회동의서 1부
기타증빙자료(지재권 등 해당자에 한함)
사업계획서, 신용정보조회동의서, 기타 증빙자료는 스캔하여 온라인지원서에 업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참여조건
사업자등록 3개월 이내의 창업자(2012년 3월말 이후 창업) 또는 미창업자
Velocity 프로그램 이수 후 KAIST TBIC에 입주를 원칙으로 함
정부기관 창업지원사업에 지원을 의무화 함
기타사항(제외대상)
-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상의 창업이 불가능한 자
- 금융기관을 통한 계좌개설이 불가능하거나, 본인 명의의 금융자산에 대한 압류가 진행 중인 자
- 국세 또는 지방세를 체납중인 자
- 정부지원사업에 참여제한으로 제재중인 자
신청안내
KAIST 창업보육센터 홈페이지(http://tbic.kaist.ac.kr)에 접속하여 VELOCITY 참가신청을 통해 첨부자료와 함께 온라인 제출
관련문의
Tel. 042-350-4731~6
E-Mail. suky@kaist.ac.kr
Homepage. 창업보육센터(http://tbic.kaist.ac.kr), 산학협력단(http://itvc.kaist.ac.kr)
2012년 연구원 특화 예비창업자육성사업 설명회 개최안내
□ 사업설명회 개최 안내
ㅇ 연구원 특화 예비창업자육성사업 종합지원계획 안내 및 우수 예비창업팀 발굴 및 참가절차 소개
ㅇ 대상 : KAIST 소속 연구원 또는 석사이상 수료 대학원생
ㅇ 일시 및 장소
- 일 시 : '12. 2. 15(수), 16:00 ~ 17:30
- 장 소 : KAIST 창의학습관 103호
□ 연구원특화 예비창업자육성사업이란?
ㅇ 사업개요 : 연구인력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연구원 예비 창업팀을 선정하여 BI 입주지원, 기술개발, 시제품 제작, 경영 등을 종합 지원하여 성공 창업기업 육성
ㅇ 지원규모 : 지원팀별 총 1억원 한도, 총 사업비 70%이내
ㅇ 지원내용 : BI입주지원, 기술개발, 시제품제작, 경영 등의 종합지원
ㅇ 신청기간 및 방법
- (신청기간) 2012년 1월 30일 (월) ~ 2012년 3월 15일(목)
- (신청방법) 창업지원 온라인관리시스템에서 신청가능 (http://startbiz.changupnet.go.kr)
ㅇ 신청자격 : 사업공고일 현재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예비창업팀(연구기관 재직중인 연구원이 1/2이상 포함)으로 직접 개발 또는 연구기관에서 제공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사업화를 희망하는 자
- 최소 2인 이상의 팀으로 신청
- 연구원은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이면서, 연구원 근무경력이 최소 3년 이상인자이어야 하며, 계약직 연구원도 기본여건 충족 시 참여를 허용
- 특정 연구기관의 경우 석사이상 수료 대학원생(근무경력 無)의 참여 허용
□ 관련문의
ㅇ KAIST 창업보육센터 연구원 이종석 ☏ 042)350-4732